전체 글(24)
-
[사회/시사] 펭귄효과
펭귄 효과(Penguin effect) : 펭귄 효과는 펭귄의 습성에서 유래된 말로, 펭귄들은 먹잇감을 구하기 위해 바다에 뛰어들어야 하지만 바다표범과 같은 천적들이 있어 잠시 주저한다. 그러나 그중 한 마리가 먼저 바다로 뛰어들면 나머지 펭귄들도 그 첫 번째 펭귄을 따라 바다로 뛰어드는데, 이를 빗대 만들어진 것이다. 바다에 뛰어드는 첫 번째 펭귄을 가리켜 '퍼스트 펭귄(first penguin)'이라고 하는데, 이는 위험한 상황에서 용기를 내 먼저 도전해 다른 이들에게도 참여의 동기를 유발하는 선구자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육지에 사는 펭귄은 먹이를 구하기 위해 바다로 들어가야 한다. 그러나 바닷속에는 바다표범이나 범고래 같은 펭귄의 천적들 역시 도사리고 있는데, 생존을 위해서는 천적에 대한..
2022.10.07 -
[사회/경제] 슈바베의 법칙
슈바베의 법칙 (Schwabe's law) :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전체 생계비에서 주거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진다는 법칙 독일의 통계학자인 H. 슈바베가 주장한 근로자의 소득과 주거비로 지출되는 비용과의 관계를 나타낸 법칙으로,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전체 생계비에서 주거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낮아지고,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전체 생계비에서 주거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진다는 것을 말한다. 19세기 후반에 슈바베가 실시한 베를린시의 가계별 소득과 지출에 대한 통계조사를 통해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주거비로 지출되는 절대적인 금액은 증가하지만, 그 가계가 소비하는 전체 지출에서 주거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감소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엥겔의 법칙에서 주거비에 대한 내용을 수정하여 발표하였다. 슈바베 지수 = (..
2022.10.03 -
[사회/미술] 김환기
한국적 소재를 서구적 모더니즘으로 표현한 한국의 아방가르드와 추상미술의 대표작가이다. 초창기(1930년대) 추상미술의 선구자였고 프랑스와 미국에서 두루 활동한, 그 시대 한국 화가로서 몇 안 되는 국제적인 화가였다는 점에서 김환기가 우리나라 화단에 차지하는 의미가 크다. 1913년 전라남도 신안의 기좌섬에서 태어나 1933년 일본에서 그림 공부했으며, 1950년 한국전쟁에 의해 부산으로 피난을 가게 되고 종군 화가로 지내며 피난 시절에 관한 작품들을 남겼다. 전쟁이 끝난 후 파리로 떠나 주로 항아리, 산과 달, 강, 매화와 같은 소재로 단순하고 추상화된 작품들을 그렸다. 다시 한국으로 돌아와 미술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다가 1963년 상파울루 비엔날레에 초청된 이후 바로 뉴욕으로 갔다. 이 시기에 즐겨 ..
2022.10.02 -
[사회/미술] 미술사조(서양)
: 미술이 지닌 사상의 시대적 흐름 미술은 시대적 상황과 분위기에 따라 영향을 받고, 시대에 따라 미술이 가지고 있는 사상이 변하게 된다. 그 변화의 흐름을 일컫는 말이 미술사조이다. 서양의 경우 원시, 고대에 벽화나 조각 등의 일상적이고 흔히 보는 소재를 다루었으나 유화 등의 미술 재료의 발달로 중세 이후 르네상스 시대를 거쳐 바로크, 로코코 시대를 거치며 예술적인 기법이 향상되었다. 하지만 그 대상에는 상상화로서는 종교화, 사생화로서는 정물화, 인물화, 풍경화 등에 그쳤다. 이후 19세기 이후 산업화와 사회의 급진적인 발달에 의하여 미술이 지닌 사상 또한 급격하게 변하게 된다. 사진의 발명으로 사진보다 더 사실 같은 사실주의가 발달하였고, 눈으로 보이는 것만 그리는 것이 아닌 사람의 감정을 그림에 표..
2022.09.30 -
[사회/인물] 데카르트
르네 데카르트(René Descartes) 1596년 3월 31일 출생 - 1650년 2월 11일 사망 프랑스의 철학자, 수학자, 과학자, 근대 철학의 아버지, 해석기하학의 창시자로 불린다. 합리론의 대표주자이며, 대표 저서인 방법서설에서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Cogito ergo sum) '는 계몽사상의 '자율적이고 합리적인 주체'의 근본 원리를 처음으로 확립한 것으로 유명하다. 투렌 지상의 투르 인근에 있는 소도시 라에의 법관 귀족 가문에서 태어난 데카르트는 그가 태어난 지 14달이 못 되어 어머니가 세상을 떠난 후 그의 외할머니 밑에서 자랐고 어린 시절 몸이 무척 허약했다고 한다. 그는 주변 사물에 대한 호기심이 강해 어려서부터 조용한 곳에서 생각에 잠기는 버릇이 있었고, 그의 부친은 ..
2022.09.30 -
[사회/국제] MOU ; 양해각서
MOU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는 memorandum of understanding의 약자로 양해각서를 의미하는 약속 문서를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상호 간 어느 정도 합의가 이루어지면 본 계약을 체결하지만, 해외 고객사, 특히 미국(영국)의 경우 본계약을 체결하기에 앞서 NDA(Non-Disclosure-Agreement; 비밀 유지 계약서)와 MOU를 먼저 체결한다. 어떠한 거래를 시작하기 전에 상호 당사자의 기본적인 이해를 담기 위해 진행되는 것으로 체결되는 내용에 구속력을 갖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양해각서가 사용되는 가장 대표적인 경우는 복수의 국가 행정기관 간의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다. 이 같은 국제공법상의 양해각서는 조약의 일종으로 분류되지만, 체결의 수..
2022.09.29